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인공지능, 쉽게 이해하기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환급(상시)과정이란 지원/환급금 없이 수강생 본인이 수강료를 전액 부담하는 학습유형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강생이 국가지원제도 및 회사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자기개발 및 스스로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100% 자비부담금으로 수강신청을하는 과정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안전보건교육 평가별 이수조건은 각 차시평가별 평가 80%, 학습진도율 20%로 하여 총 득점의 70점이 넘어야 평가이수가 가능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차시평가가 이수가되어야 수료조건에 충족이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시별 평가의 각 평가별 응시횟수는 6회(재응시 5회)이며 재응시 3회차에는 해당 차시 진도를 재수강해야 재응시가 가능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과정 소개 | 본 과정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인 인공지능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여 학습자들의 직무 전문성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학습 대상 |  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소양을 쌓고자 하는 임직원 인공지능을 업무에 활용하고자 하는 임직원
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학습 목표 | 인공지능의 전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 
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교수 소개 | 이송   - 연세대학교 수학과( 학사졸업 )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습내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차시 | 내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차시 | 인공지능의 역사와 주요 개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차시 | 왓슨의 주요 서비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차시 | 머신러닝 이해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차시 | 딥러닝의 이해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차시 | 뉴스와 AI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차시 | TV와 AI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내/외부 환경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필요자원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환경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방향 설정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차시 | 인공지능서비스 목표 확정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차시 | 인공지능서비스 요구사항 수집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정의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5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검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6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요소 정의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타당성 검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방안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0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활용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1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상품화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2차시 | AI 서비스의 디지털 콘텐츠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3차시 | AI 서비스의 영화산업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4차시 | AI 서비스의 음악산업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5차시 | AI 서비스의 얼굴인식 및 이미지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6차시 | AI 서비스의 문학과 미술에의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기준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방법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실행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0차시 | AI의 실패영역과 인간의 관여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습내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차시 | 내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차시 | 인공지능의 역사와 주요 개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차시 | 왓슨의 주요 서비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차시 | 머신러닝 이해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차시 | 딥러닝의 이해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차시 | 뉴스와 AI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차시 | TV와 AI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내/외부 환경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필요자원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환경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방향 설정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차시 | 인공지능서비스 목표 확정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차시 | 인공지능서비스 요구사항 수집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정의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5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검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6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요소 정의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타당성 검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방안 분석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0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활용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1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상품화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2차시 | AI 서비스의 디지털 콘텐츠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3차시 | AI 서비스의 영화산업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4차시 | AI 서비스의 음악산업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5차시 | AI 서비스의 얼굴인식 및 이미지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6차시 | AI 서비스의 문학과 미술에의 적용 사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7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기준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8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방법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9차시 | 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실행 기획하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0차시 | AI의 실패영역과 인간의 관여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기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평가비율 | - | 80% | 10% | 10% | -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수료조건 | 8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60점 이상 |  |